요즘 잠을 자는 시간이 줄었다.
새벽 두,세시에 잠이 들고 일곱시에 깨는 좀 피곤한 하루 하루를 이어가고 있다.
점심을 먹으려고 도마위에 김치를 자르고 있는 중이였는데, 갑자기 우루루~ 하는 소리가 났다.
창문을 열어보니, 콩알만한 우박이 떨어지고 있었다.
옥상에 샴비 먹일 풀을 키우고 있는데, 1센티 정도 자란 싹이 혹시라도 우박에 부러질까봐
급하게 달려나가서 랩으로 씨워주고 부엌으로 들어 왔는데,
생각해 보니 사진을 찍어두고 싶어서 사진기를 들고 다시 뛰어 나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와 함께 떨어져서 오래 쌓여 있지는 않았다.
"그래도 일년에 두,세번은 서울 하늘에서도 우박을 볼 수 있구나~!"
우박이 좋은건지 나쁜건지는 모르겠지만,
좋고 나쁘고를 생각하기 전에 흔히 볼 수 없는걸 보는건 기분 좋은 일이다.

어제 깎았던 인형은 후배 언니에게 주기 위해 채색중이다.
얼마 있으면 생일이라, 돈들여 선물을 사는거 보다 내가 주고 싶은 것을 만들어 주기로 했다.
그게 나무인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인형은 키가 크다.
목인박물관에 가서 봤던 목각인형중 여인에 모습을 하고 있는 모습이 너무 예뻐서
이번엔 서있는 인형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
참. 오늘은 샴비가 우리 집에 온지 1년하고 하루 되는 날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




블로그 기능을 도와주는 친구가 오늘 블로그에 초대장이 또 생겼다는 걸 알려 주더군요.
티스토리 초대장을 10분께 나눠드립니다.
주변에는 사용할 사람이 없어서, 블로그에서 신청하시는 분들께 드리겠습니다.

조건,
메일 주소를 꼭~ 남겨주세요. ( 꼭 사용중인 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3일내 확인 하지 않으시면, 취소 하겠습니다.)


Work post

콩테 ; Conte

연필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콩테는 원래 'Crayon de Conte' 라 불리는 고형 물감의 한 종류로 프랑스의 화학자이며 화가였던 니콜라 자크 콩테(Nicolas Jcques Conte)가 만들었다고 해서 창안자의 이름을 따서 콩테(conte)라고 명명하고 있다. 제조회사에 따라 생귄이라는 색명을 부르기도 하고 초크(chalk)라고도 한다. 전통적으로 천연 소재를 그대로 보여주는 세 가지 색이 사용된다. 콩테는 농담이 풍부하며 옛부터 콩테화로서 하나의 회화분야를 형성해왔다. 크레용과 같은 재질로 데생보다 크로키에 적당하며 연필보다 농도가 진하고 화면의 부착력도 우수하다. 특히 흰색 콩테는 초크라고도 하는데 석회석에 물과 고착제를 섞어 만든 것으로서 목탄이나 콩테로 그린 그림의밝은 부분을 강조할 때 많이 사용된다.

Conte 는 연필처럼 사용하기 편하게 만들어져 나오는 것도 있고, 스틱으로 판매되는 것도 있다.
연필모양으로 판매되는 것은 크로키로는 적당하지만, Conte를 주 제료로 그림을 그리는 경우엔 스틱을 선택해야 한다. 호미화방에서 판매되는 Conte 는 제조사에 따라 농도와 부착력이 틀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nté Set-48 Assorted
This set consists of white, flesh, peach, Naples yellow, lemon yellow, yellow, golden yellow, indian yellow, light orange, orange, natural sienna, umber, red brown, red earth, mahogany, bistre, natural umber, madder, garnet red, red, scarlet, blush, pink, magenta, lilac, purple, violet, Persian violet, dark ultramarine, ultramarine blue, blue, light blue, sky blue, Payne's gray, aqua, prussian green, teal, olive green, dark green, light green, lime, spring green, mineral green, light olive, cool gray, light gray, dark gray and black.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종이에 Conte 를 그었을때에 질감이다.
천이나 캔버스등 기본 재료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nte 는 기본재료에 특성상 마감이 쉽지 않다.
마감은 여러 가지 혼합물질을 사용해 유화 만큼 완벽한 안착이 가능하다.
Conte ( 콩테 라고 불리기도 하고, 꽁테 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난 왠지 콘테 라고 부르고 싶어진다.)
conte로 그림을 그리고, conte 에 안착에 대해 고민하면서 부터, 그 질감과 색감에 손실이 없는 마감처리에 방법을 찾아내기 위한 고민이 많았다. 여러 재료를 구입해 사용해 보면서 재료비도 만만치 않았고 그에 따른 도구 비용도 무시 할 수 없을 정도로 들었다.
여러 가지 재료가 있고, 다른 작가들과 마찮가지로 나 역시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재료라고 할 수 있는 conte 는 기본이라는 원초적인 느낌만을 만족시켜 주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재료보다도, 테크닉적이고 감각적인 매력이 있고, 사용하면 할수록 재료를 정복하고 싶어지는 욕심이 생기게 한다.
작업이 재료에 굴복 당하는 것은 스스로 챙피한 일이다.
EGO'S House(63×84)

EGO'S House(63×84)

EGO'S House(59×84)

EGO'S House(59×84)

EGO'S House(60×84)

EGO'S House(60×84)

conte on cloth 2006

anguish

anguish (130×97cm)

my room

my room (130×97cm)

conte on cloth 2007

blooming

blooming (122×122cm)

a faint hope

a faint hope (80×120cm)

conte on cloth 2007

Work post
아르코 예술 정보관에서 대출했던 책 반납을 위해 대학로 문예진흥원에 갔었다.
샴비에게 목줄을 메고, 낙산공원을 넘어서 내려 갔는데, 낙산공원 밑 마을에 전에는 보지 못했던
벽화들과 설치 작품들이 몇몇 눈에 들어 왔다.
잘 나온것도 있었고, 엉성한 것도 있었는데 가끔 학생들이나 작가들이 자기가 거주하는 집이나
마을에 벽화를 그려 놓는 것들 보다는 완성도가 좋은 편이였다.
낙산 공공미술 프로젝트 인가 하는게 그거 였겠지!
좋은 느낌에 작품도 여럿 눈에 들어 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 몇일 동안은 창밖을 자주 내다 보고 있다.
머릿속에 빙빙 도는건 거미줄 치고 있는 내 통장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비와 하루를 마감하는 자리엔 커다란, 세숫대야에 파송송 계란 탁~
인스턴트 커피로 입가심~

오늘도 무사히 ...
오랜만에 낙서했다. 블로그에 쓰는 글들 중에는 등록시간을 예약해 두는 것들이 있다.
이 글과 전에 글도 그렇게 한건데, 지난번엔 아는 사람이 내 블로그에 와서 글을 보다가 새글이 올라오는걸
보곤, 새벽 다섯시에 전화를 했다. " 오늘은 늦게 자네~^^"  자다 일어나서 전화를 받고 무슨말인지 몰라
비몽사몽~하며 뭐가요~뭐가요~ 하다가 잠들었다.

성유진 의 진행중인 작업

'A 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박도 떨어지고, 소나기도 오는 하루였다.  (4) 2007.03.28
티스토리 초대장 10장 드립니다.  (26) 2007.03.28
마음이 편안한 상상을 하다.  (8) 2007.03.20
회화  (2) 2007.03.17
태터툴즈 3주년 축하합니다.  (7) 2007.03.04

집 근처에 사는 고향 친구가 있다.
어제 깎았던 인형은 친구에게 선물하기 위한 거여서, 선물포장을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가
남는 천을 미싱질 해서 작은 가방을 만들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가방은 아니고, 주머니라고 해야 할것 같다.
작은 주머니..
오후에 찰랑찰랑 들어다가 친구를 만나서 전해 줬는데, 어제 깎았던 다른 인형은 처키 인형 같단다.
그 인형도 선배에게 선물 하려고 깎은건데, 아무래도 다시 깎아야 할 것 같다.
좀 재미 있으라고 칠한 건데 처키라니...
목각인형을 많이 모아 두면 나만에 컬렉션룸을 꾸미고, 나무인형 셋트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성유진 의 진행중인 작업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목각인형
옷이 촌스럽게 나왔다.
나름, 여름에 느낌을 만들려고 했는데, 칠하고 나니 촌스러워 졌다.

성유진 의 진행중인 작업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목각인형
취한 것 처럼 보인다.

성유진 의 진행중인 작업
사용자 삽입 이미지

편안하게 쉴수 있는 것에 대한 상상을 한다.
편안하다는 것을 단 한가지, 마음이 안정된 잠을 자는 것처럼 깨어 있음에도 편안한 상태 말이다.

요즘 그림이 잘 되질 않아서 나무만 깎고 있다.
일주일 전부터 그림을 계획이였는데, 요즘 좀 심란한 일들이 하나,둘 늘어가서 인지 그림엔 손을 못데고 있다.

하루 한개... 놀자고 하면서 난, 놀만한 마음에 여유는 없는가 보다.

'A 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초대장 10장 드립니다.  (26) 2007.03.28
아르코 예술 정보관  (4) 2007.03.23
회화  (2) 2007.03.17
태터툴즈 3주년 축하합니다.  (7) 2007.03.04
Bloglines 에 내 블로그 feed 등록이 되지 않는다?  (0) 2007.02.1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비님 전용 샴바박스
샴비님 전용 에어컨
샴비님 전용 배고픈 아티스트르 하인

나무 꼬챙이 하나만 있어도 할 수 있는게 그림이다.
대가들에 회화작품을 보며 감동받고 스스로 위축되기도 하지만,
그림은 계산된 틀을 벗어나 있을때 더욱 인간적이고 사실적이라고 생각한다.
눈에 보이는 사실을 표현하는 회화작품들 에서의 감동도 좋지만,
생각이 꿈틀거릴 머릿속에 소리와 이미지를 표현해 놓은 구상과 추상에 더 깊은 사실감을 느낀다.
얼마전 시립 미술관에 갔을때, 우연찮게 1층에서 열리는 전시를 보게됐다.
마그리트전을 보기 위해 갔다가 우연히 보게된 로베르 콩바스 작품을 보고,
작품에 너무 심취한 나머지 초현실에 대가 마그리트를 잊고 말았다.
커피를 한잔 마시기 위해 로비에서 잠간 이야기를 하다가, 붐비는 사람들을 보고 나서야
시립미술관에 온 이유를 다시 떠올리게 됐다.
시립미술관과 같은 공간에서 전시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작가의 작품이나 심리적인 부분에서 얻는 것이 많은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회화작품들의 순수성이나 트랜드화되는 작품의 방향들을 보면서,
작가가 남을 것인지, 작품이 남겨져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불필요한 고민을 만든어 낸다.


얼마전 광화문 근처를 걷다가 갤러리 현대 앞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기다리던중 눈에 띄는 붉은색
현수막이 걸려 있는 걸 봤다. 멀리 있어서 프린트된 작품만 보고, 독일작가일 꺼라는 생각에
그림이 좋아서 아무생각 없이 현수막을 다시 한번 봤는데, Zeng Fanzhi (쩡판즈)에 작품이였다.
집에서 숨어살던 2004년 부터 중국미술에 대한 관심으로 중국 작가들에 작품을 국내 갤러리에서
심심찮게 봐 왔다.
중국미술에 거대한 바람을 보는 사람들 중에는 급성장하는 중국 미술에 대한 거부감을 보이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급성장이니, 거부감이니 하는 것은 미술과 연결되는 자본에 대한 부분일 것이다.
300호 이상의 캔버스에 선 하나만 그어 놓더라도 그걸 작품이라고 할수 있는 작가들은 많다.
하지만, 느낌까지 담아낼 수 있는 진정한 작품은 많지 않다.
살아있는 작가중, 쩡판즈만큼 힘있는 선을 지늰 작가는 흔치 않다.
갤러리 현대에서 본 쩡판즈에 선을 보고, 뭐라뭐라 해도 중국에는 좋은 작가가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사람이 많아서 일까?
우리나라에 한명에 좋은 작가가 나온다면, 인구수 대비 중국엔 20명이 넘게 나올테니 말이다.

작품에서 영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행복이다.


Work post

'A 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코 예술 정보관  (4) 2007.03.23
마음이 편안한 상상을 하다.  (8) 2007.03.20
태터툴즈 3주년 축하합니다.  (7) 2007.03.04
Bloglines 에 내 블로그 feed 등록이 되지 않는다?  (0) 2007.02.18
낙서_ 착한소녀  (10) 2007.02.1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손이 많으면 한꺼번에 많은걸 할수 있을 것 같다.
아름다운가게 홍에 기증 하던 날


블로거를 통해 진행중인 작업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무인형
웰컴 투 동막골에서 귀에 쏙 들어오는 말이 있었다.
" 동무~ 꽃 꽂았~슴네다~ "


블로거를 통해 진행중인 작업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무인형.
엄지 손가락이 커졌다.
내 손가락이 왼손,오른손 짝짝이다.


블로거를 통해 진행중인 작업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무 인형 채색전 모습
이번 인형들은 4일 걸려서 만들었다.
자세도 좀 바뀌고, 인터뷰기사로 나무인형을 소개하면서 정~말 시간이 한가할때나
깎던 것들을 블로그에 정리해 놓다 보니,
조금더 깎고 싶은 욕심이 생겼었다.

블로거를 통해 진행중인 작업
Anxiety virus (불안 바이러스)

당신의 불안을 태그로 표현 한다면

예쁘고, 아름다운 것은 사람들과 쉽게 이야기되고 함께 바라보고 하며 일상에서도 숨겨지고 외면되기 보다는 그것을 알지 못하면 외면되기도 하는게 사회에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이 소외되는 것을 내 이야기의 범위를 벗어나 사회적이거나 경제, 현실등을 설명하며 이야기 할 수는 없다.
그것은 내가 속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시각적으로 난 그것을 바라볼 수 없기 때문이다.
내가 바라볼 수 있는 것은 단순히 내가 속한 범위에서의 느낌 뿐이다.
내 생활 속에서 나는 사람들을 만나며 불안해 하고, 경제적 미래를 생각하며 불안해 하고, 이런것들을 생각해야 하는 것을 불안해 한다.
혼자 있어도 불안하고, 함께 있어도 불안하다.
불안은 겉으로 잘 들어나지 않는다. 숨겨져야 하는 이유는? 내게 있는 불안도 나로인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 되면서도 이것을, 스쳐지나는 사람들까지도, 모두 볼 수 있도록 풀어 놓을 수는 없다.
풀어 놓는 다는 것이 또 불안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불안은 스스로에게 확장성이 있는 듯 하다.

불안 바이러스 (Anxiety virus) 는 타인에게 전염되기 보다는 자신에게 확장되는 특성이 있다.

타인에게 숨겨져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지는 못하겠다. (정신병원에 담당 의사는 깨진 거울에 한 조각이 되어 주기도 하지만, 깨진 거울이 한조각도 남아 있지 않고 뻥 뚤려서 열린 창문으로 향하고 있다면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불안한 식욕

Anxiety virus 를 사람들에게 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걸 받는 다고 해서 전염되지는 않을 것이다.)

풍선에 바람을 계속해서 불어 넣으면 어떻게 될지 알고 있다.
부풀때로 부푼 풍선을 나는 이미 여러개 가지고 있는 느낌이다. Anxiety virus 작업은 딱딱한 사회적 뭐시기 등에 설명을 만족시키기 위한 작업이 아니다.
해소, ... 불안을 평범하게? 받아 들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한 작업이다.

::Anxiety virus:: (불안 바이러스) 관련 작업 - 당신의 불안을 태그로 표현 한다면
Work post

'ART 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불안을 태그로 표현 한다면  (32) 2007.05.01
그림과 함께 외출하기  (22) 2007.04.08
그림과 함께 외출하기  (10) 2007.02.25
그림과 함께 외출하기  (14) 2007.02.19
그림과 함께 외출하기 리스트  (2) 2007.02.19

::당신의 불안을 태그로 표현 한다면:: 이라고 블로그에 글을 달아 둔 것은,
블로그로 접근이 가능한 사람들에게 태그 라는 텍스트 만을 모으기 위한 작업이 아니다.

사람들에게 접근하기 위한, 메세지를 남기는 것이다.
내가 뭔저 남기던, 누군가 내게 뭔저 전하던...
왜 태그를 남겨 달라고 했을까? 이 태그로 작업을 한다면, 어떤 분이 말씀 하신것 처럼
태그라는 텍스트는 오프라인 상에서 태그의 유기적인 부분을 표현하기는 어려울지도
모른다는 것이 있었다.
오늘 사랑이란 단어는 불안과 고통을 표현하고 있을 수 있지만, 내일은 사랑은 가슴뜨겁고
자그러움을 이야기 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사람이 아닌 같은 사람에게서...

불안은 고립되 있고, 통로가 없다.
태그를 통해 블로거들에게서 받아 들이는 것은 텍스트 만이 아니다.
받아 들일 수 있는 너그럽고 안정적인 내가 아지지만,
즉흥적일 수 있는 이야기를 건내 받은 나는 그들에게 또 다른 느낌을 찾아 볼 것이다.
이건 무조건 공감한다는 것이 아니다.

편하게 생각한다.
내가 표현하는 텍스트로써의 이미지들을 다시 이곳과 그들에 공간에서 표현되어 질
느낌,
"내 공간과, 또 다른 공간에서 표현되어질"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생각을 좀 정리해야 하는데, 마땅한 텍스트가 생각 나지 않는다.
질문에 반복이라고 해야 할까?
찾아 돌아 다녀야 할 일들이 점점 늘어만 가고,(점점발전소?)
기획한 생각을 좀 정리해야 시작이든 뭐든 할텐데, 자세히 적으면 읽기 싫어질 만큼 길어지고
생략하자니 너무 가벼워 보이고...
사람들에게 질문을 하려는 것이다.
나는, 그리고 당신은...
내가 평범한 선에 있는 것인지, 혹시 내가 이상한게 아닌지 질문하고,
나만 그런게 아니라는 걸 확인하고 싶어진다.
이, 이상하게 생각될만한 덩어리들을 또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어지는 것이다.

질문을 할 것이다.
무작위? 아니면 선택?
몇개월 한가지 질문을 들고 다닌다면, 내가 얻게되는 것은 태그 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든다.
각자를 부분적으로 대표하는 태그를 blogger 들에게 질문하는 것이다.
당신은? 어떤 태그를 달것인가?
당신에 텍스트, 그리고 나에 이미지는 같은 것일까?

+ Recent posts